AWS(4)
-
IAM
◎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 aws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 -> aws 계정을 생성할 때 처음 만들게 되는 루트 계정은 aws 서비스에 대한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다. 모든 서비스와 리소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가지고 있는 계정이기 때문에 해당 계정이 탈취되거나 보안 상의 문제가 생길 경우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 aws에서는 루트 계정을 일상적인 작업에 사용하지 않기를 강력하게 권장한다. -> IAM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액세스할 수 있는 AWS 리소스를 제어하는 권한을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다. -> 암호나 액세스 키 없이 aws 계정의 리소스를 관리 및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다른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 권한을..
2023.10.15 -
S3
◎ 클라우드 스토리지 -> 인터넷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다. -> 구글 드라이브 생각하면 된다. -> 웹 환경이라면 어디서든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에 접근할 수 있다. ◎ S3(Simple Storage Service) -> S3는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다. -> S3는 높은 확장성이 있어 스토리지 규모를 확장/축소가 가능하다. ->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 스토리지의 내구성이 높아 저장된 파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 전세계에 가용 영역이 위치하여 한 곳의 가용영역에 문제가 발생해도 다른 가용 영역에 백업을 해놓은 데이터를 사용해 서버가 정상적으로 가동되게 한다. -> s3는 다양한 스토리지 클래스를 제공한다. 저장소 활용 목..
2023.03.31 -
RDS
◎ RDS(Relational Database Sevice) -> AWS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다. ※ 사실 EC2 인스턴스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다면 RDS는 왜 쓸까? - EC2 인스턴스에 데이터 베이스를 설치하여 데티러를 관리하려면 사용자가 일일이 데이터베이스 엔진의 설치와 버전관리, 백업을 다망해야 한다. 또한 내구성과 가용성이 확보되지 않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가 유실되거나 정상적으로 사용하지 못할 확률이 높아지고, 이후에 데이터베이스의 규모 확장에도 어려움있다. - RDS를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의 유지보수와 관련된 작업은 RDS에서 관리한다. 사용자는 초기설정하고 데이터 관리만 하면 되기 때문에 편리하다.
2023.03.31 -
EC2
◎ EC2 ->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다. ->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서버, 스토리지, db 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 가상 컴퓨터다. -> 필요에 따라 성능,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 컴퓨터로 설정을 통해 바로 컴퓨터를 빌릴 수 있기 때문에 구성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매우 짧다. -> 또한 우분투, 리눅스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 대한 선택이 가능하다. -> AWS에서 빌리는 컴퓨터를 instance라고 한다. -> ec2 인스턴스를 생성한다는 것은 aws로부터 컴퓨터 한 대를 빌리는 것이다. ◎ AMI -> 소프트웨어 구성이 기재된 템플릿 -> 운영체제만 설치된 템플릿을 선택하거나 특정 런타임이 설치된 템플릿을 선택하여 제공 받을 수 있다.
2023.03.31